연말정산 종합소득세, 부가세 환급받거나 0원으로 세금 낼 게 없으면 좋겠지만, 소득이 많아지고 소비가 줄면 세금 낼 확률이 높아집니다.
최대한 절세 혜택 준비를 했음에도 세금이 나오는 경우에는 미리 세금 통장을 만들면 좋겠죠.
세금 통장은 매번 출금이 발생하는 게 아니고 입금은 소득이 발생할 때마다 생깁니다.
그리고 잔액들이 잔잔하게 계속 묵혀있다가 세금 납부할 때 빠져나가기 때문에 이체수수료 / 통장 금리가 중요합니다.
1. 이왕이면 금리 높은 통장 활용하기
카카오뱅크는 아예 '부가세통장' 이름으로 출시한 입출금통장이 있습니다.
금리는 연 1.8%로 일반 입출금통장보다는 금리가 높은 편입니다.
그런데 해당 계좌는 신규 계좌개설이 필요해요.
이걸 가입하면 약 1달간 다른 자유입출금통장 가입이 어렵습니다.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는 연 2.0%입니다.
케이뱅크 상품은 대부분 카카오뱅크, 토스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케이뱅크 계좌 있으면 새롭게 입출금통장을 만드는 게 아니라 플러스박스 만들기만 하면 끝!
매일 이자도 받을 수 있고요. 지금은 연 2%지만 추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되면 또 하락합니다.
이체 수수료도 면제!! 세금 납부를 카드, 현금으로 할 수 있어요.
보통 카드 결제는 세금액이 많은 경우인데요. 여기서 발생하는 카드수수료는 본인 부담이라 비용이 더 커집니다.
미리 이렇게 현금을 따로 모아두면 소소하게 이자 받을 수 있죠.
파킹통장 / 증권사 CMA계좌도 좋습니다. 대부분 증권사 CMA계좌가 금리 더 높은데요.
간혹 이체 한도가 걸리거나 수수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니 고르실 때 이 부분 꼭 확인하세요~
2. 들어오는 수입의 10%씩 모으기
카카오 부가세통장은 카카오뱅크 계좌로 사업자통장 쓸 경우 입금액 있으면 알아서 10%씩 모아줍니다.
입금 빈도가 많으면 이렇게 자동으로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제가 직접 이체하고 있어요.
부가세통장 뿐만 아니라 ISA계좌, IRP계좌, 연금저축펀드에도 일정 비율만큼 이체하고 있습니다.
목돈 이체는 좀 부담스러운데 수입의 일부를 미리 이체하면 지출 타격감이 훨씬 줄더라고요.
세금이 아직까지 많이 나오지 않는다면 5%도 괜찮습니다.
그래도 부가세는 10%니까 10%를 미리 준비하는 것!!
3. 환급액이 생겼다면?
세금을 뱉지 않고 돌려받았다면 공돈이라 생각하지 말고, 연금저축펀드나 IRP, ISA계좌에 없는 돈처럼 넣으세요.
소비 통장에 넣으면 추가 소비만 생기지만 강제 저축 투자하면 자산을 굴리는데 돈을 쓸 수 있으니까요.
부가세통장에 다시 넣지 않는 이유는 여기에 넣지 않았다면 투자통장에 넣을 것이었기 때문이죠.
부가세통장에는 딱 세금 나올 금액 정도만 넣고 나머지는 저축, 투자로 쓰는 것이 낫습니다.
'생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닥터 9988+ 갤럭시 핏3 특별프로모션 (0) | 2025.04.23 |
---|---|
기후동행카드 성남시 확대 (0) | 2025.04.18 |
키움증권 출석체크 앱테크 포인트 (0) | 2025.03.13 |
수산대전상품권 3월 구매 방법 한도 (0) | 2025.03.13 |
우리은행 친구 초대 코드 PYV2Lhxe (0) | 2025.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