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니멀 머니 노마드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확대 확인 방법

by 요니나 2025. 3. 11.
728x9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 확대는 올해 25년 1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가입한 월에 맞춰서 1년에 한 번씩 전년도 개인소득 금액을 다시 확인하고 개인소득 심사결과에 따라 앞으로 1년 동안 적용받을 수 있는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나옵니다.

 

 

작년부터 청년도약계좌 가입 장려 글을 많이 올렸습니다.

제가 왜 해당 정부 정책 상품을 적극 추천하는지 강의에서는 늘 말하고 있는데요.

만약 강의를 못 들었다면, 하단 링크 글은 꼭 읽어주세요.

 

https://yonina.tistory.com/737

 

청년도약계좌 가입할까요? - 재형저축 10년 차가 말합니다

정부가 한정 대상으로 심지어 지원금까지 준다면 일단 묻고 따지지 않고 가입하면 좋은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5년이라고 너무 길다고 하는데요. 예금, 적금 저축 상품은 금리가 높거

yonina.tistory.com

 

 

 

2025년 4월 ~ 2026년 3월까지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은 2024년 소득확인 기준연도로 국세청 신고소득으로 확인합니다.

만약 신고소득이 없다면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미납부) 1년간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됩니다.

국세청 수정신고(경정청구) 또는 정정을 완료 후 서민금융콜센터로 정정사실 통보해야 합니다.

각자마다 통보 가능한 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혹시 해당된다면 꼭 미루지말고 신청하세요.

정부 기여금 받아야죠!

 

만약 2023년 소득확인 기준연도에 육아 휴직 또는 군복무 이력은 유지심사 결과 소득이 없더라도 증빙서류 제출할 수 있는 기간 별도 안내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후 심사가 완료되면 카톡으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월 납입금액 40만 원까지 지급비율 6.0%로 정부기여금 24,000원 지급

추가 납입 한도 (최대 30만 원)는 지급비율 3.0%로 정부기여금 9,000원 추가 지급

 

총 월 최대 정부기여금 지급금액은 33,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월 70만 원을 무조건 넣어야 하는 이유겠군요.

 

* 개인 소득 심사는 가입 후 1년 주기로 매년 실시되며, 

1~6월은 전전년도 소득, 7~12월은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유지 심사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